안녕하세요! 지난 번 글에서 IAM으로 계정을 관리해보았으니 이번에는 직접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WS 예산 설정 하기실제로 AWS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이용하기 전에 예기치 못한 과금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예산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계정명 클릭 후 결제 및 비용 관리 메뉴로 들어갑니다. (혹시 IAM 계정으로 결제 정보에 접근이 안되는 분은 루트 계정으로 들어간 후 해당화면에서 따로 권한을 주어야합니다!) 접속을 성공적으로 하게되면 이렇게 과금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슬랙 봇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프리티어 EC2 인스턴스를 사용중이어서 0$가 과금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서비스에서 이 메뉴를 통해 비용을 분석하고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
안녕하세요!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보통 AWS를 활용하기 마련인데요.AWS를 잘 모르고 사용했을 때는 AWS 계정 주인의 root 계정을 돌려서 사용하고 하다보니 보안적인 이슈나 협업 효율성에서 많이 손해를 보곤 하였습니다 😂 오늘은 안전하게 팀원들과 협업을 할 수 있도록 AWS IAM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IAM은 무엇인가?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은 AWS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는 글로벌 서비스입니다. 글로벌 서비스란? 리전(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AWS 인프라에 전역적으로 설정 가능한 서비스! AWS를 사용하기 위해선 회원가입을 하는데요, 그 과정에서 사용자의 정보와 직접 결제가 이루어지는 계좌 정보를 입력하는 등 직접 AWS와 ..
개발을 처음 시작하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말을 듣게 됩니다."코드는 꼭 Git으로 관리해야 해요""깃허브(GitHub)에 프로젝트를 올려봤나요?" 하지만 막상 들어보면 Git과 GitHub가 같은 건지, 다른 건지 헷갈리기 마련이죠. 오늘은 두 개념의 차이와 역할을 명확히 구분해,처음 접하는 사람도 Git과 GitHub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볼게요. Git이란 무엇인가? Git은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입니다.즉, 코드를 수정하거나 추가할 때마다 그 변화를 기록하고 관리해 주는 도구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코드의 히스토리를 추적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Git은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가리눅스 커널 개발을 효율적으로 ..